사업과제
- 년도
- 2012
- 분야
- 조사연구
- 연구과제명
- 미생물(EM제) 처리 음식물류폐기물의 무항생제 사료화 연구
- 첨부파일
-
2012-대전-황경숙.pdf (파일 사이즈 : 230.0 KB)
- 책임자/기관
- 황경숙 교수(목원대학교)
- 연구기간
- 12.4.1~12.12.31
- 참여 연구원수
- 연구사업비
- 30,000만원
- 연구목적
-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EM제(유산균, 효모, 광합성세균)를 이용하여 양호한 상태의 음식물류폐기물 원료를 확보하고, 사료첨가 우수 균주를 선발하여 무항생제 사료 생산하고자 함.
- 주요내용
- 1. 대전시 학교급식 잔반을 대상으로 양호한 상태의 음식물류폐기물 원료 확보.
2. 사료첨가 미생물 (유산균, 효모) 선발 및 동정
3. 사료 첨가 부형제 ․ 첨가미생물 최적 배합조건
4. 사료 첨가미생물 처리 음식물류폐기물의 사료화 평가
- 연구결과 활용
- ◦ 지역환경개선 및 경제발전의 기여도(가능성)
1. 학교 급식 잔반 처리에 있어서의 수거비용 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, 잔반처리 비용의 절감은 급식의 질 개선으로 이어짐.
2. 음식물류폐기물의 사료화는 퇴비화, 에너지화, 소멸화 등의 자원화방법보다 경제성이 탁월하며, 생산물에 있어서의 이용성도 우수함.
◦ 환경개선효과
- 전남 장흥군 소재 S 농가의 경우, 년간 약 40만마리 육계를 사육하고 사료 70톤을 소비함. 음식물류폐기물 사료를 실용화 할 경우, 한 농가에서 년간 약 35톤의 음식물폐기물의 자원화가 가능함.
◦ 경제적 파급효과
- 현재, 배합사료의 경우 800원/kg인 반면, 음식물 폐기물 사료는 180원/kg으로 사료 가격 인상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축산농가에 안전하고 저렴한 사료 공급가능.
◦ 추후, 유용미생물(EM제) 처리 음식물류폐기물의 무항생제 사료화 개발기술을 활용하여 축산농가에 안전하고 저렴한 사료제품을 공급하고자 (주)푸른환경기술, (주)세창환경 등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기업과 함께 고품질의 사료를 대량 생산 기술 개발 추진 중.
◦ 「악취저감을 위한 유용미생물 특성과 상기균주의 음식물류 폐기물 악취저감효과」로 특허 출원 예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