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과제
- 년도
- 2023
- 분야
- 조사연구
- 연구과제명
- 대전 내 습지의 생태적 및 환경적 가치평가 연구
- 첨부파일
-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.
- 책임자/기관
- 한영수 교수/충남대학교
- 연구기간
- 2023.3.7~2023.12.31
- 참여 연구원수
- 4
- 연구사업비
- 3,000만원
- 연구목적
- 대전 내 습지의 현황을 조사하고, 생태시스템 모델링을 통하여 연구 대상 습지의 생태적, 환경적 가치를 평가함
- 주요내용
ㅇ 대전 내 습지 문헌조사 및 생태계 서비스 모델 조사를 통한 연구 대상지 선정 및 모델링 툴 선정
▪ 생태계 서비스 모델링을 위해 InVEST 모델 선정: 서식지 질 및 탄소 저장량
▪ 생태계 서비스 모델링의 대상 습지: 대전 내 모든 습지를 선정
▪ 드론 촬영를 통해 토지피복 활용도에 대한 정밀 조사: 갑천습지보호구역 및 4개 내륙습지
▪ 탄소저장량 산정을 위한 습지 토양 샘플링 및 탄소함유량 측정
ㅇ InVEST 모델 활용 서식지 질 및 탄소 저장량 평가 모델링
▪ 대전 지역 전체에 대한 서식지 질 및 탄소 저장량 평가를 위한 모델링을 실시하였음.
▪ 평가 결과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, 빨간색 일수록 서식지 질이 낮고 탄소량이 적은 지역이며 파란색으로 나타날수록 높은 서식지 질과 풍부한 탄소 함유량을 보여줌.
▪ 각 평가 결과를 대전 내 존재하는 습지를 기준으로 상세하게 계산한 결과, 대청호 인근의 습지(직동습지에서 가장 높은 값)에서 비교적 높은 서식지 질 평가 결과가 도출되었음. 갑천습지보호 구역은 도심지 습지인 이유로 서식지 질 평가 결과가 낮게 나타났으나 환경부 조사 습지 등급 1등급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습지로 평가됨.
▪ 습지의 탄소 저장량 평가에서는 갑천습지보호구역이 넓은 면적으로 인해 총 탄소량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냄. 면적당 탄소저장량에 있어서도 비교적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음.
▪ 선정된 5개 습지에 대하여 드론 촬영을 수행한 결과, 촬영된 이미지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25000:1 토지피복도와 매우 높은 일치성을 보여주어 향후 모델링 적용시 국가제공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도 현장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음.
- 연구결과 활용
- ㅇ 국내 학술대회 발표
▪ 이혜민, 최찬미, 한영수, 대전지역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InVEST 모델 적용, 한국도시환경학회 하계학술대회(20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