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과제
- 년도
- 2004
- 분야
- 조사연구
- 연구과제명
- 대전광역시 내 환경위해외래식물의 분포현황 조사연구
- 첨부파일
-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.
- 책임자/기관
- 김주환/대전대학교
- 연구기간
- 2004년 4월 ~ 2005년 2월(11개월
- 참여 연구원수
- 6 명
- 연구사업비
- 20,000만원
- 연구목적
-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은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이다. 이것들은 60년대말과 70년초 꽃가루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식물로 알려지면서, 환경생태계에 많은 관심이 되어 왔다. 또한,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은 특히 도시지역에서 국민의 건강에 매우 유해한 환경위해식물일 뿐 만아니라, 특유의 방향성물질인 monoterpene을 함유하여 생태계내의 먹이망과 영양단계에 있어서 다른 식물군락들보다 생육지차지에 있어서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어, 계속해서 점점 더 다양한 생육지와 넓은 분포역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이에 환경부에서는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, 도깨비가지, 물참새피 등을 자연환경보전법에 근거하여 1999년 2월 환경생태계위해외래식물로 지정한 바 있다.
따라서,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시도된 바 없는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, 도깨비가지, 털물참새피, 물참새피 등 환경위해식물의 대전광역시내 정밀한 분포현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.
- 주요내용
- . 조사지점의 선정 : 대전광역시 전역을 1km x 1km의 정방형격자로 구분하고, 인근 충청남북도 지역과의 경계지역은 지점에 따라 다소 변형된 격자로 구획한다.
. 연구방법 및 내용 :
1) 구획된 조사지점내에서의 환경위해외래식물의 분포를 확인한다.
2) 집단의 규모, 생태계피해정도, 인간간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정밀조사가 필요한 지역은 격자내에서 여러지점을 선정하여 방형구법을 이용한 정밀 군락생태조사를 실시하고, 정밀한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생물종 bio-monitoring의 대상으로 지정하여 지속적인 조사를 실시한다.
3) 식물의 분포지와 정밀조사지역은 지점별로 GPS를 이용하여 위경도 및 고도를 기록하며,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제작한 GIS-map에 coding하여 환경위해식물분포도를 작성한다.
- 연구결과 활용
- . 대전광역시내 환경위해식물의 정밀한 관리대책에 이용될 것이다.
. 대전광역시의 도시 및 산림생태계의 환경친화적인 천이복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.
. 대전광역시내 환경위해외래식물의 방제대책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며, 이를 통하여 귀화식물들의 친환경적 관리대책에 이용될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