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사업

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

년도
2005
분야
환경정책연구
연구과제명
대전시 환경자원사업소 악취저감을 위한 효율적 운영관리 방안수립
첨부파일
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.
책임자/기관
윤오섭 교수/대전환경센터
연구기간
2005.4~2006.2(11개월)
참여 연구원수
27 명
연구사업비
130,000만원
연구목적
1.현재 가동 중인 24톤/일 처리용량의 음식물 퇴비화시설과 450톤/일 발생의 매립지 침출수 및 가스로 인하여 현재와 같은 운영 방식으로는 집단 민원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, 제 2 매립지 건설계획도 반대 여론이 비등할 우려가 높음
2. 또한, 2005년부터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로 100톤/일 규모의 음식물 퇴비화시설과 제2호기 소각로의 정상가동 예정 등으로 폐기물 매립량의 상당한 감소 예상에 대비
3. 1996년부터 매립이 개시된 현 매립장에 대한 향후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하여 그간의 매립량과 향후 매립 가능량을 정확히 조사하여 매립장의 포화시점을 진단, 제 2 매립장의 조성시기를 결정하고자 함
4. 사업소 내에 현재 가동중인 퇴비화 시설과 침출수 및 가스처리시설의 운영에 대한 전반적이고 정밀한 진단을 실시하여 돌출되는 문제점을 개선계획에 반영하여 매립장 주변환경의 이미지를 근본적으로 개선함이 필요함
5. 이러한 진단결과를 토대로 현 시설의 효율적 운영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집단민원을 사전에 해결하고 퇴비화시설 및 제 2 매립지 조성 계획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제고를 목적으로 함
주요내용
1. 음식물 퇴비화 시설 및 매립지 시설 운영진단
○ 반입음식물의 성상파악
○ 가동 퇴비화공법 효율성
○ 퇴비화 시설 설치 검사제도 도입에 따른 기존 퇴비화 시설 운영관리 진단
- 시설보완 또는 폐쇄 여부
- 검사항목에 대한 적합성

2. 음식물퇴비화 시설 및 매립지 시설 악취저감
○ 시설별 악취발생 현황
○ 시설운영 개선을 통한 악취저감
- 시설/조직의 개선 및 소요예산
- 운영 수칙개선
- 운영 요원 교육(지도, 감독)방안
○ 매립가스에 대한 발전사업과 연계한 저감 및 기타 저감 방안
○ 전체 소요 사업비 예측

3. 음식물류 폐기물 퇴비화 대안
○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슬러지 성상분석
○ 음식물 쓰레기와 Co-Fermentation 실험 운전 결과에 따른 설계인자 도출
○ 대전시 하수 종말처리장 혐기성 소화조의 여유 용량 결정
○ 대전시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 슬러지 병합 처리시설 계획수립
○ 소요사업비 예측

4. 매립지 내 시설 개선
○ 발생침출수의 기존 시설에 의한 처리 및 하수와의 병합처리 실험 결과에 따른 이송 타당성 검토
○ 음식물퇴비화시설의 폐수와 하수의 병합처리방안 추가
○ 현재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국내외 사례연구 및 적용가능성 대안제시
○ 적용가능 대안에 대한 소요사업비 예측
○ 『발생침출수의 기존시설에 의한 처리 및 하수와의 병합처리 실험결과에 따른 이송타당성 검토』과제 중 추가검토사항
- 기존처리방법에 따른 경제성 및 효율분석
- 발생 침출수 원수 또는 전처리 후 이송 처리 시 하수와 병합처리 실험결과에 따른 각각의 영향분석 및 관련법규(폐기물 관리법,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등)검토, 협의를 통한 이송타당성 검토
- 향후 매립장 침출수 발생량 추정 및 음식물 침출수 추가이송에 따른 저류조 증설 및 침출수 이송관로 추가 매설 타당성 검토

5. 제 2 매립지 적정 조성시기 진단
○ 반입 폐기물의 성상 파악, 향후 발생량/성상 예측 및 특성분석
○ 매립지 내 가스현황 분석 및 발생 추이와 현행 매립공법 진단
○ 제 2 매립지 적정 조성시기 도출
○ 새로운 매립 방식의 도입(MBP 방식, 침출수 재순환 등) 타당성 검토
○ 반입폐기물 중 재활용품 분리의 경제성 검토
○ 전처리(재선별) 시설의 개략 설치비 및 유지 관리비 산정
○ 정부의 쓰레기감량정책에 따른 쓰레기 발생량 및 매립량 예측과 함께 광역 및 대전도시계획과 연계한 도시팽창(인구증가 등)속도에 따른 쓰레기 발생량 및 매립량 예측 포함
○ 현 매립장의 사용기간 연장방안 및 종료시점을 예측하고, 제2매립장 조성적정 시점진단(경제성 및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)
○ 매립장 내 침출수 수위확인 방법 및 침출수 저감방안
○ 매립전 쓰레기층에 축조계획인 제방(7단부터) 안전성 및 방법검토
연구결과 활용
1. 매립장 악취개선과 제2매립장 조성의 적정시기 판단 효율적 재정운영도모 및 지역주민의 악취민원 해결
2. 침출수의 이송처리로 매립장 운영관리비 절감
상단으로 이동